한·EU 핵융합 협력협정 연내 체결키로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EU 핵융합협력 실무회의에서 한·EU 핵융합 협력협정을 조속한 시일내에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과학기술부는 한ㆍEU 양국간 핵융합 연구분야 협력증진을 위해 16일 과기부 평촌청사에서 개최된 실무회의에서 이같이 협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한국측 수석대표로 과기부 김창우 기초연구지원과장과 외교부 유연철 환경과학과장이 참석했으며 EU측 수석대표로는 D Gambier EU 연구개발총국 핵융합공동개발실장이 참석했다.


지난해 두 차례 열렸던 한·EU 핵융합협력 실무회의에 이어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회의에서는 연내 한·EU 핵융합 협력협정 체결을 위해 협정문안에 대한 양국간 실무 검토가 진행됐다. 또 양국 핵융합 전문가가 참석해 협정체결과 함께 추진될 한·EU간 구체적인 핵융합분야의 협력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회의에서는 핵융합에너지의 조기상용화 달성을 위해 추진중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 참여국으로서 양국간 ITER 기술협력방안에 대한 협의가 진행됐다. 아울러 ITER 건설부지 확정을 앞둔 시점에서 성공적인 ITER 건설과 운영을 위해 양국간 핵융합 공동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키로 합의했다.


이와 관련, 양측은 ITER 장치 제작기술 습득을 위한 공동연구를 위해 한국의 차세대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의 부대장치 공동개발, 핵융합 연구인력의 상호교류 등 세부 협력추진사항도 조속히 추진키로 했다.


특히, ITER 장치의 원격 제어 운전을 위해 필요한 Grid기반의 원격 제어시스템 개발을 위해 양국이 KSTAR를 활용한 공동연구 추진을 합의함에 따라 ITER의 ‘Pilot Plant’역할을 담당코자 하는 KSTAR의 국제적 입지가 더욱 굳건해졌다.


이와 함께, 풍부한 핵융합 장치 제작 및 운영경험을 가진 EU 연구자들과의 KSTAR 건설단계에서부터 공동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성공적인 KSTAR 장치의 제작과 핵융합장치 운영에 필요한 H/W, S/W 기술이전이 가능하게 됐다.


과기부 관계자는 “올해 안에 세계 최대의 핵융합 투자국인 EU와 핵융합분야에서 정부간 공식적인 협력체제 구축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양국의 핵융합 연구기관간 협력약정 체결과 산학연 인력교류 등을 활발하게 추진할 예정”이라며 “우리나라 핵융합 연구역량의 선진화와 함께 우리 산업체의 ITER 참여효과를 한층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05-16 16:28:33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