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
서울시, 고액·상습 수도요금 체납 합동징수반 운영
【에코저널=서울】서울시가 6월을 ‘수도요금 체납 제로의 달’로 정하고 고액·상습 체납자에 대한 강도 높은 요금 징수에 들어간다. 고질적 체납자에 대해선 단수나 재산압류 등 실효성 있는 조치를 시행하고, 소액 체납자도 납부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방식으로 집중적인 정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경제적 어려움을 ...
-
한강유역환경청, 수도사업 운영·관리 실태점검
【에코저널=하남】한강유역환경청은 6월부터 11월까지 수도서비스의 품질 향상과 운영관리 효율성 제고를 위해 일반수도사업 운영·관리 실태점검을 한다. 점검 방법은 상수도요금 현실화 노력, 운영인력의 전문성 확보 및 수질기준 관리 등 항목을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에 입력하면 자동 산출되는 기본평가와 유관기관(한국수자원공...
-
낙동강권역 운문댐 가뭄 ‘주의단계’…농업용수 감량
【에코저널=세종】환경부는 6월 1일 11시 기준으로 낙동강권역 용수댐인 운문댐(경북 청도군 소재)이 가뭄 ‘주의’ 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댐 용수 비축을 위한 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난 5월 1일 ‘관심’ 단계에 진입 이후, 운문댐으로 유입되는 유량은 하루 평균 23만톤이나, 댐 공급량은 하루 평균 38만4천톤으로, 댐 저...
-
구리시, 침수방지시설 설치 지원
【에코저널=구리】구리시는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를 방지하고자 반지하 등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가구를 대상으로 침수방지시설 설치 보조금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리시는 2023년 ‘구리시 침수방지시설 설치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2024년부터 해당 사업을 추진해 차수판 42개소, 역지변 1개소 ...
-
환경부, 지자체와 전국 물놀이형 수경시설합동점검
【에코저널=세종】환경부(장관 김완섭)는 전국 물놀이형 수경시설에 대해 6월 2일부터 약 4개월에 걸쳐 지자체와 합동으로 실태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물놀이형 수경시설은 분수, 폭포 등의 시설에서 이용자가 물에 접촉해 놀이를 할 수 있는 인공시설물로 전국에 약 3300여 곳이 있다. 유형별로는 분수대(바닥분수, 벽면분수 포함)가 2,004...
-
한국도자재단·시흥시, ‘경기바다 함께해(海)’ 연안 정화
【에코저널=시흥】한국도자재단과 시흥시는 지난 5월 30일 ‘제30회 바다의 날’을 맞아 시화MTV(Multi Techno Valley) 거북섬 일원에서 ‘경기바다 함께해(海)’ 연안 정화 활동을 펼쳤다고 1일 밝혔다. ‘경기바다 함께해(海)’는 깨끗한 경기바다 조성을 위해 경기도와 연안 5개 시, 도 산하 공공기관이 함께 추진하는 자발적 해...
-
정기용 기후변화대사, ‘제1차 빙하 보전 고위급 회의’ 참석
【에코저널=서울】정기용 외교부 기후변화대사는 타지키스탄 정부가 UN과 함께 타지키스탄 두샨베에서 개최한 ‘제1차 빙하 보전에 관한 고위급 국제회의(High-Leve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laciers’ Preservation)‘에 참석해 빙하 보전을 위한 국제사회 의지 결집 노력에 동참하고 한국의 관련 정책과 협력 사례를 소개했다. 이번 회의는 UN...
-
인천시, 주요 수도시설 집중 안전점검
【에코저널=인천】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여름철 기온상승에 따른 수돗물 사용량 증가에 대비해, 시민들에게 안정적으로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주요 수도시설에 대한 집중점검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상수도사업본부는 도·송수관로 총 814㎞ 구간에 대해 제수밸브 작동 여부, 지반침하 위험 요소 등을 포함한 전반...
-
국가물관리위원회, 녹조저감 주제로 범부처 해법 논의
【에코저널=서울】대통령 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민간위원장 배덕효)는 30일 오후 포스트타워(서울 중구 소재)에서 ‘기후위기시대, 녹조 대응을 위한 범부처 협력방안’을 주제로 ‘2025년 제2차 정기 연구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최근 기후위기로 인한 기온 상승, 가뭄 등으로 녹조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됨에...
-
정부, 홍수 피해 다발지역 피해 재발 방지대책 마련
【에코저널=서울·세종】정부는 기후변화가 바꾼 홍수 양상에 대응하기 위해 ‘홍수 피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했다. 최근 10년(2014~2023)간 홍수로 연평균 13명의 사망자와 2579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으며, 앞으로는 잦은 집중호우로 인해 모든 유역에서 홍수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정부는 지난 2월 민·관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