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
서울시, 공공건물 대상 ‘옥상 빗물담기’ 공모
【에코저널=서울】서울시는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호우에 대비해 건물 옥상에 빗물을 담아 도시 침수를 예방하는 ‘건물 옥상 빗물담기’ 참여 건물을 모집한다. 서울시와 자치구가 소유한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이달 28일까지 공개 모집한다. 앞서 서울시는 건물 옥상에 빗물을 임시 저장하기 위해 ‘10cm 월류형 배수홈통’을 ...
-
고양시, 해빙기 하수도 시설 안전점검
【에코저널=고양】고양특례시는 해빙기 기온변화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지난 2월 18일부터 3월 18일까지 한 달간 민관 합동으로 해빙기 안전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점검 대상은 관내 하수관로 정비사업장 3개소 및 공공하수처리시설 개량사업장 1개소, 공공하수처리시설 4개소다. 이번 점검은 해빙기(2월~4월)를 맞아 겨울철 한파...
-
서울시·지구닦는사람들, 지구에 무해한 마라톤 ‘무해런’ 개최
【에코저널=서울】서울시는 오는 3월 23일(일) 친환경 러닝 행사 ‘2025 무해런’을 지구닦는사람들(와이퍼스)과 공동 개최한다고 밝혔다. ‘무해런’은 국내 최초 쓰레기 없는(No-Trash) 마라톤으로, 참가자들은 러닝을 통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무해런’...
-
‘염인정제도’ 개선…이차전지 염폐수 합리적 관리 모색
【에코저널=양평】환경부는 이차전지 폐수의 적정처리를 위해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및 ‘하수도법 시행규칙’ 등 염인정제도와 관련된 개정안을 3월 20일 공포 후 이날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해당 시행규칙의 위임을 받아 세부 사항을 규정하는 ‘염에 의한 생태독성 증명에 관한 규정(국립환경과학원고시)’ 개...
-
경기도, 팔당호 주변 시·군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 지원
【에코저널=광주】경기도는 팔당지역 7개 시·군의 상수원 수질오염 예방을 위해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개인하수처리시설은 주택·소규모 사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침전·분해·여과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시설을 말한다. 건축허가 시 ‘하수도법’에 근거해 처리시설...
-
미추홀구, 집중호우 대비 하수시설 정비
【에코저널=인천】인천 미추홀구는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를 예방하고, 원활한 배수처리를 위해 오는 7월까지 침수 취약지역 하수 시설물을 준설한다고 18일 밝혔다. 미추홀구는 올해 ▲주요 간선도로 10개 노선 ▲숭의, 도화, 주안 ▲용현, 학익, 문학 총 3개 권역에서 4200여 개의 빗물받이를 집중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학산사...
-
고양시, 상수도 송수관로 누수 신속 복구
【에코저널=고양】고양특례시는 지난 14일 정기 점검을 통해 덕양구 관산동 공릉천 둔치 내 대자조절지 수계 송수관로(D900) 노후화로 누수가 발생한 것을 발견해 복구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고양시 전체 배수지의 3분의 2에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는 주요한 상수도 시설인 대자조절지 수계 송수관로는 관경 900mm 대구경이고 수압도 높다. 제수...
-
북한산국립공원도봉사무소, 송추계곡 환경정화 전개
【에코저널=양주】국립공원공단 북한산국립공원도봉사무소(소장 이진범)는 지난 14일 송추계곡(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 일원)에서 환경정화 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매년 3월 22일은 점차 심각해지는 물 부족과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해 유엔(UN)이 ‘세계 물의 날’로 기념하는 날이다. 이날 행사...
-
수원시 ‘워터코디’, 다중이용시설 수돗물 수질검사
【에코저널=수원】수원시상수도사업소는 ‘워터코디’(수돗물 수질 검사원)가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해 무료로 수질 검사를 해주는 ‘2025년 워터코디 사업’을 시작했다. 수원시상수도사업소에서 전문교육을 받은 워터코디가 11월까지 사회복지시설, 학교·도서관 등 상수도를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 3520개소를 방문해 수돗...
-
한강홍수통제소, 전국 가뭄 기초조사 설명회 개최
【에코저널=서울】환경부 소속 한강홍수통제소는 물 부족에 대비하고 효과적인 가뭄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가뭄 기초조사 지자체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3월 18일부터 대전광역시, 보령시 등 충남지역 17개 시·군의 용수 공급시설 담당자를 대상으로 시작되며, 4월 초까지 전국 167개 시·군을 대상으로 권역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