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
-
인천 남동구, 산밑말근린공원 새단장…맨발 산책로 조성
【에코저널=인천】인천시 남동구는 만수2동 산밑말근린공원에 총 길이 250m의 맨발 산책로를 신설하는 등 정비공사를 마무리했다고 6일 밝혔다. 남동구에 따르면 신동아아파트와 맞닿아있는 이 공원은 숲이 우거진 산지형 공원으로, 만수산무장애길과 인천시둘레길이 지난다. 만수천 초입에 있고, 어린이숲놀이터와 게이트볼장, 배드민턴...
-
100년 전 우리식물의 기록, 특별사진전 개막
【에코저널=포천】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일제강점기 한반도 전역을 탐사한 식물학자 어니스트 헨리 윌슨(Ernest Henry Wilson, 1876~1930)의 사진과 기록을 중심으로 한 특별사진전을 2025년 8월 14일부터 9월 30일까지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광복 80년을 맞아, 식물 기록을 통해 되찾은 기억과 식물자...
-
울산 북구 ‘연암정원’ 연꽃 개화…여름철 볼거리
【에코저널=울산】울산 북구는 연암정원 연꽃 개화로 여름철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지난달 말부터 본격 개화를 시작한 연암정원 연꽃은 이달 중순 정도까지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연꽃 습지를 중심으로 포토존과 전망대, 쉬어갈 수 있는 테이블과 벤치 등도 있어 연꽃을 즐기기에 좋다. 연꽃 외에도 최근에는 연암정원 통나...
-
섬, 생물다양성 ‘보고’…자생생물 2만2084종 확인
【에코저널=목포】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섬 지역 자생생물 조사·확보·발굴 연구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섬에 서식하는 자생생물 목록 총 2만2084종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2021년 개관한 국내 유일의 섬·연안 생물자원 전문 연구기관이다. 섬과 연안의 생물다양성 보전부터, 기...
-
양평 용문산치유의숲 등 여름철 산림치유 운영
【에코저널=양평·가평·포천·동두천】경기도는 무더위를 피해 숲속에서 몸과 마음을 회복할 수 있도록 가평 잣향기푸른숲 등 4곳에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라며, 도민들의 참여를 당부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가평 잣향기푸른숲, 포천 하늘아래치유의숲, 양평 용문산치유의숲, 동두천치유의숲 등 4곳...
-
국립공원공단, 소백산 일원 여우 30마리 방사
【에코저널=원주】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하 ‘공단’)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붉은여우의 복원을 위한 증식기술을 확보, 올해 여우 30마리를 소백산 일원에 방사한다고 밝혔다. 여우는 1970년대까지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었으나, 1970년대 쥐잡기 운동 여파에 의한 2차 독극물 중독으로 개체 수가 급감해 자취를 감...
-
강화도 번식장 구조견 일부 브루셀라 양성 의심반응 확인
【에코저널=강화】동물보호단체 연합인 ‘루시의 친구들’은 지난 8월 1일, 강화도 허가번식장 ‘민스캔넬’에서 공동 구조한 300여 마리의 개 중 일부에서 간이 검사 결과 인수공통감염병인 브루셀라 양성 의심 반응을 확인하고, 방역 당국에 신고했다고 5일 밝혔다. ‘브루셀라(Brucella canis)’는 ‘가축전염병예방법&rsq...
-
국립수목원 선정 8월 우리의 정원식물 ‘억새’
【에코저널=과천】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우리의 정원식물’로 ‘억새(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Matsum.)’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억새’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바람에 흔들리는 은빛 꽃이삭이 고요하고 우아한 정원 경관을 연출하는 식물이다. 억새는 가을 정원을 우아하게 꾸며주는 여...
-
서울대공원 산림치유·숲해설 프로그램 11종 운영
【에코저널=서울】서울대공원은 더운 여름 멀리 떠나지 않아도 숲속에서 시원하게 보낼 수 있는 다양한 산림여가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라 밝혔다. 서울대공원은 치유의 숲, 산림치유센터, 식물원, 산림욕장 등 녹음이 우거진 울창한 숲과 식생이 잘 보존돼 있어 자연 그대로를 느끼며 힐링하기에 좋다. 이번 프로그램은 공원의 대자연을 가...
-
아열대성 ‘푸른우산관해파리’, 제주 이어 동해까지 확산
【에코저널=제주·부산】아열대성 소형 해파리인 ‘푸른우산관해파리’(직경 2~3cm)가 지난 7월 17일 제주 해역에서 처음 관측된 이후, 전남·경남·부산·경북 등 남해안과 동해안 일대에서 대량으로 출현하고 있다. 이번 주말경에는 강원 연안까지 확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