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
-
고양시, 람사르 고양 장항습지 생태 캐릭터 5종 개발
【에코저널=고양】고양특례시가 람사르 고양장항습지의 생태적 가치를 친근하게 전달하기 위해 신규 캐릭터 5종을 개발해 공개했다. 이번 캐릭터는 청년행정연수체험 연수생들과의 협업을 통해 자체 개발하고, 시민 참여 공모를 통해 이름을 선정한 것이 특징이다. 신규 캐릭터는 ▲두리(재두루미) ▲람삭(삵) ▲해똥(붉은발말똥게) ▲달똥...
-
지리산생태탐방원, 합숙형 고교학점제 운영
【에코저널=구례】국립공원공단 지리산생태탐방원은 전라남도교육청 소속 9개 고등학교에서 선발된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7월 29일부터 8월 1일까지 모두 34시간(3박4일)에 걸쳐 고교학점제 ‘생태와 환경’ 과목을 운영했다고 밝혔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
-
유네스코, 무등산권 세계지질공원 현장실사 완료
【에코저널=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와 전남도, 화순군, 담양군은 지난 7월 28일부터 31일까지 3박4일간 진행된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현장실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이달 1일 밝혔다. 이번 실사는 무등산권 세계지질공원이 2018년 유네스코로부터 세계지질공원으로 최초 인증을 받은 이후, 2023년 재인증을 거쳐, 두 번째 재인...
-
환경재단·코스맥스, '멸종위기' 진노랑상사화 살리기 나서
【에코저널=화성】환경재단은 코스맥스와 함께 화성특례시 향남제약공단 내 ‘생물다양성 공원’을 조성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진노랑상사화’를 포함한 자생식물 21종, 약 2천주를 식재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공원 조성은 멸종위기 식물과 자생식물의 증식 및 서식 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
-
폭염에 서울대공원 동물들 수박 등 여름 보양식 제공
【에코저널=가평】올해도 서울대공원은 무더위에 지친 동물들을 위해 여름나기 특별식을 제공한다. 폭염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면역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단백질이 풍부한 우족과 닭고기, 수분과 영양이 가득한 과일과 채소를 동물별 식이에 따라 맞춤형으로 준비했다. 호랑이가 있는 맹수사 등 15여 곳의 동물사에 총 920kg의 영양 가득한...
-
용인 고림‧진덕지구 푸른물결 소공원·무지개구름 소공원 개방
【에코저널=용인】용인특례시는 처인구 고림동 1035번지 일원 고림진덕지구 내 푸른물결 소공원과 무지개구름 소공원 2곳을 1일부터 전면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번 소공원 개방은 지난 7월 16일 열린 ‘힐스테이트 용인 고진역 1·2단지 공동주택 민생현장 소통버스킹’에서 주민들이 조속한 공원 개방을 요청한 데 대한 후속 조치...
-
해양수산부 8월의 해양생물에 ‘자주비로드’ 선정
【에코저널=새종】해양수산부는 ‘8월의 해양생물’로 ‘자주비로드(Dudresnaya japonica)’를 선정했다. ‘자주비로드’는 일본, 중국, 타이완 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 연안의 수심 10~15m 내 파도가 없는 지역에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붉은색의 젤리 형태로 연하고 점액질이 많아 미끌미끌하며...
-
통영서 ‘수산자원 생태 사진표본 전시회’ 열려
【에코저널=통영】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8월 한 달간 경남 통영시 통영청년세움(통영시청년센터)에서 수산자원 연구 현장과 우리 바다 수산자원의 생태와 연구 현장을 주제로 한 ‘생태 사진 및 생물 표본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여름방학과 휴가철을 맞아 통영을 찾는 관광객과 지역 시민들에게 수산...
-
해양수산부 선정 8월의 수산물, 메기·농어
【에코저널=새종】해양수산부는 ‘8월의 수산물’로 메기와 농어를 선정했다. 메기는 하천 또는 호수 바닥에 서식하는 민물 어류로, 필수 아미노산 등 다양한 영양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체력 증진과 면역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영양과 맛이 뛰어나 조선시대에는 궁중에 진상하는 품목 중 하나였으며, 기력 보충에 효과적이라 ...
-
‘나팔고둥’, 8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
【에코저널=세종】환경부는 8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대형 연체동물인 ‘나팔고둥’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나팔고둥이라는 이름은 조선 시대 왕실 행차나 군대 행진 시 사용되던 전통악기 ‘나각’(螺角)에 이 고둥의 껍데기가 활용된 데서 유래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나팔고둥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