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봄철 산불발생 각별히 유의해야
이승호 수석연구원(한국종합환경연구소)봄철에 산불이 많이 발생한다. 연중 가장 건조하고 바람도 강한 봄철에 연간 산불발생 건수 대비 약 90%이상이 발생하고 있고, 면적대비 99%이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우리나라는 산불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65%가 산지며, 이중 97%가 입목지로써 산...
-
식목일 청명한식에 본 수목장의 현실화 방안
이경율 회장 (사)환경실천연합회4월, 본격적인 식목철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나무심기가 한창이다.1950∼1960년대 헐벗은 산림자원의 회복을 위해 국가적으로 식목일을 지정하고 녹화정책이 펼쳐졌다. 그 덕분에 눈으로 보기에도 헐벗은 산은 많이 줄었다. 현재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피해가 가시화되면서, 탄소를 흡수하고 지구온도를 낮출 ...
-
황사의 공습이 시작되는 계절
이승호 수석연구원(한국종합환경연구소)【에코저널=서울】요즘 하늘을 보면 참 답답하다. 맑은 햇살도 볼 수 없고, 색깔도 노란 것이 기분도 그렇다. 빨래도 널 수 없다. 자동차 위에도 뿌옇게 먼지가 쌓이고 있다. 그런데 보기에만 그런 것이 아니라 우리 몸에도 아주 좋지 않다. 바로 '황사'다.황사는 중국과 ...
-
'제17회 세계 물의 날' 바라본, 한반도 물의 현주소
(사)환경실천연합회 이경율 회장【에코저널=서울】오는 3월 22일은 UN이 정한 '세계 물의 날'이다. 지구상의 물 부족과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해 1992년 제47차 유엔 총회에서 물의 날을 제정한 이래 17회째를 맞는다.물의 오염과 부족에 경각심을 주기 위해 제정하였으나, 지구촌의 ...
-
어족자원 불법남획 이제는 사라져야
이승호 수석연구원(한국종합환경연구소)【에코저널=서울】기후 온난화로 인해 해수온이 상승하면서 우리나라 연안은 급격한 종(種) 변화를 겪고 있다. 종 변화는 해양생태계 파괴는 물론 우리 가정의 식탁에까지도 영향을 미친다.어족자원의 변화는 해수온 변화, 해양환경변화도 하나의 큰 요인이지만 무분별한 ...
-
기축년 변화와 성장을 주도하는 에코피아-가평!
노용호 전문위원(가평군청 정책개발팀)지난해부터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실물경제 악화로 경기침체가 급속화되면서 수출을 주력으로 하는 우리나라에는 충격파가 더 컸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슬금슬금 오르기 시작한 원 달러 환율과 원자재 값은 기업의 도산과 감산, 구조조정 같은 엄청난 충격파를 던졌으며, ...
-
농업부문 녹색기술의 추진 방향
김창길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녹색성장의 추진 배경과 의미최근 전 세계적으로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경제활력 회복이 국가적인 핵심과제로 부각되고 있다.우리나라 경제는 그동안 요소투입형 발전전략이 한계를 나타냄에 따라 1990년대 이후 경제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
-
<신년축시>양평 두물머리에 희망의 햇덩이 춤을 추네
금강산을 시작으로 내달려 온 북한강과태백산 기슭에서 흘러 내리는 남한강암캉과 수캉이 뜨겁게 물 섞는 이곳 두물머리에기축년 황소의 해 희망의 첫 아침 밝아 오네가까운 족자섬 남종산 위로 뜨겁게 타오르는 햇덩이 하나험한 파도 갖은 시련 닥쳐와도 어김없이 다시 오는새해 첫날 아침봄되면 만상의 꽃 앞다투어 피고여름이면 온갖 ...
-
야생동물 이동 고려한 국립공원 생태네트워크 연구
서식지 중심의 종 관리정책은 최근 국내·외의 환경 및 정책 여건상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1970년대 이후 자연환경 관리정책에 생물종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에 따른 보전지역 설정 및 복원을 위한 대상지 선정을 반영하고 있는 상황이다.이러한 보호지역 관리 정책은 생태계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
-
오대산국립공원 강풍에 의한 숲틈 형성
산림생태계에서 숲틈의 형성과 재생과정은 종구성 및 종다양성을 증가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오대산 국립공원 성숙림에서 2006년 10월 강풍에 의해 숲틈이 형성되어 숲틈의 크기 및 숲틈형성목의 특징을 파악하고, 숲틈 내 미소지형에서 임상과 목본의 재생을 2년간 비교·분석했다.숲틈은 평균 2.8개(1∼6개)의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