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보다 강화된 환경교육이 필요한 시점
수년 전부터 전 세계에서 자연재해로 인한 소식이 이전보다 더 많이 들려오고 있다. 올해만 해도 중국의 쓰촨성 지진, 미얀마의 사이클론 '나르기스' 등 큰 재해로 인해 수많은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이 발생했다. 태평양과 카리브해 등지의 섬나라들은 점점 상승하는 해수면으로 인해 국가 자체가 사라질 위기를 맞고 있으며, 폭염과 혹...
-
녹색성장의 꿈, 사람과 자연의 합일(合一)로 가능
장규신 사무총장 (환경부 위탁기관 환경보전협회)태안반도에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한지도 어느덧 9개월이 지났다. 바다생물, 바다환경을 비롯해 인간에게도 무서운 피해를 줬던 그 검은 기름 띠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태안군은 천혜의 자연자원과 아름다운 경관을 배경으로 대다수의 군민들이 어업과 관광 관련업에 종사를 하고 있다. ...
-
경안천을 살리고자 하는 의지가 과연 있는지 ?
이승호 수석연구원 (한국종합환경연구소)필자는 지난 4일 경안천이 흐르고 있는 용인지역을 다녀왔다. 경안천은 용인시와 광주시를 흐르는 하천이다. 길이는 26.8km이고 유역면적은 208.37㎢이다. 경안천의 발원지는 용인시 이동면 어비리 저수지이며, 능원천(陵院川)·곤지천(昆地川)과 합류해 남한강으로 흘러든다. 이 물은 수도권 2400만...
-
'녹색성장'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이승호 수석연구원 (한국종합환경연구소)요즘 신문, TV, 모임 등 어디를 가나 가장 많이 듣는 단어가 녹색성장, 저탄소, 온실가스, 친환경개발, 웰빙 등 환경에 관한 단어다. 환경은 우리 주변을 둘러싼 모든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경제가 발달하고 의, 식, 주가 해결됨에 따라 보다 좋은 환경에서 살고 싶은 것이 어쩌면 모든 사람의 본능이다...
-
환경을 위협하는 새로운 유행, '패스트 패션'
환경오염이 우리 생활 속에서,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일어나는 문제점이라는 사실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로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패스트 패션'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요즘 옷값이 많이 싸졌다는 것을 느끼는가? 길거리나 인터넷 쇼핑몰에서 팔려지는 옷들 중 만원이 채 되지 않는 상품들이 상당 부분이다. 어찌 보면, 요...
-
저탄소 녹색성장, 농업발전의 성장동력으로 활용
김창길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온도와 해수면 상승, 기상재해 빈발, 생태계 변화 등을 통해 기후변화 현상이 가시화되면서 범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유럽과 일본 등은 교토의정서를 통해 할당받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이행 중이며 2013년부터 모든 국가를 ...
-
환경 고려않는 신도시 계획 '우려'
이경율 회장 (사)환경실천연합회새 정부 들어 경기도 지역의 신도시 건설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오산세교지구와 인천 검단지구 비롯한 고양시도 시가화 예정용지로 지정하고 이달 16일부터 건축 행위를 제한하는 내용의 주민공람을 공고했다.그러나 이렇게 지정된 신도시 예정지는 세부적인 밑그림과 도시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안 ...
-
추석 전 은행 앞에서 현금 관리에 만전을
민족의 최대명절인 추석이 열흘 남짓 앞으로 다가 왔는데 벌써부터 들뜬 분위기에 편승해 현금 거래가 잦은 은행주변에서 이용객들을 노린 범죄들이 조용히 고개를 들고 있다.요즘은 홈뱅킹이나 인터넷 뱅킹 등 가정 내에서 금융거래를 하는 경우가 많아 졌다고는 하나 명절을 얼마 남겨 두지 않은 이때가 금융기관을 통한 현금 유통이 가...
-
2011년 세계유기농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제언
김창길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집약적 농업생산 활동이 유발하는 환경문제로 화학비료와 농약 등 화학적으로 합성된 농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업이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지도 거의 30년이 된다.1990년대 들어 유기농업은 토양과 생태계는 물론이고 사람의 건강을 유지하는 농업생산 시스템으로 인식되면서 국...
-
막걸리가 뭔지 아시나요?
동네 한가운데 정자나무 아래 막걸리잔을 기울이시던 어르신들이 생각난다. 아마 우리 전통이 무엇인지 나는 그것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얼마나 많이 다음세대에게 전해줄 수 있는지 이런 것들을 가끔 생각해본다.와인이 세게 제일의 술인 것처럼 잘 팔리는 세상, 위스키가 아니면 술이 아닌 것 같은 세상을 살고 있다.외국에서 친구가 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