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자연에 대한 경외감이 필요한 때
이승호 수석연구원 (한국종합환경연구소)이제 장마가 막바지에 들어섰다. 휴가철이 시작 된 것이다. 이 시기가 되면 자연은 늘 위기를 맞는다. 수많은 인파가 산과 바다로 이동하면서 엄청난 쓰레기와 자연훼손을 해왔던 것이 사실이다.올해는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물론 휴가를 다녀오면서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않고 자연훼손도 ...
-
<논평>일본의 환경운동가 석방을 환영한다!
우리는 그간 일본의 불법적인 고래포획과 그 과정에서 공공연히 자행됐던 고래고기의 상업적 불법거래를 폭로한 일본 그린피스의 활동가 '준이치'와 '토루'의 석방을 환영한다.우리는 준이치와 토루의 행동이 인류 공동의 자연인 세계의 바다를 보존해야 한다는 보편적이고 평화적인 가치를 수호하기 위한 당연하고 의미있는 ...
-
환경규제, 이제는 그만 풀어야
이경율 회장 (사)환경실천연합회'같은 용도에 다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한번 사용하도록 고안된 제품으로써 대통령령이 정하는 제품' 자원절약법 제2조 제10호에 명기된 1회용품에 대한 정의다.요즘 이 1회용품들에 대한 규제가 망아지 고삐 풀리 듯 줄줄이 풀리고 있다. 새 정부가 들어서고 난 이후, 커피전문점 등에서 사용...
-
초고유가 시대, 슬기롭게 대처해야
이승호 수석연구원 (한국종합환경연구소)지난 2008년 6월 16일 기준유가는 Dubai유 131.03$, Brent유 135.11$, W.T.I유 134.86$가 되었다. 그야말로 유가는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석유가 나오지 않아 전체사용량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유가의 상승은 물가상승으로 이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고, 산업계에서는 적자운영으로 파업도 ...
-
음식문화시범거리 선정에 즈음해
얼마전 한국음식업중앙회경기도지회 회의실에서는 낭비적인 식생활 습관과 푸짐한 상차림을 지양해 식량자원의 낭비도 막고, 환경오염도 방지하자는 논의가 있었다. 건강하고 알뜰한 음식문화를 정착시키고, '좋은 식단' 실천을 확산ㆍ파급시키고자 2008년 경기도 음식문화시범거리 선정을 위한 프리젠테이션과 이를 심사하고 선정...
-
작은 실천, 환경문제 해결의 단초
이승호 수석연구원 (한국종합환경연구소)산업혁명이후 공업화가 진행되면서 인류가 급속도로 쏟아낸 많은 인위적 물질들은 물질순환의 불균형을 초래했다. 물질순환 불균형은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적요인과 비생물적요인의 절묘한 균형을 갈기갈기 찢어 놓아 결국 환경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파괴로 인류는 현재 이상기후, 기온...
-
산모(産母)와 미역국의 의미
신우철 박사(완도수산사무소장)한방에서 미역은 해채(海菜), 감곽(甘藿), 자채(紫菜) 해조(海潮) 등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민간요법에서는 산후선약(産後仙藥)으로 산후와 생일날이면 으레 미역국을 연상할 만큼 친숙해진, 한국적인 식품이다.생(生)과 사(死)를 가름했던 출산의 과정을 넘어 첫 대면(對面) 음식...
-
한반도에 늘어가는 녹색사막을 막자!
이경율 회장 (사)환경실천연합회지구온난화 등 전 지구적으로 심각해지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훼손되고 있는 산림 지키기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요즘이다.우리가 늘상 산림훼손의 주범이라 떠드는 산불보다 무려 19배의 산지가 더 훼손되며, 심겨진 잔디를 위해 매년 237톤의 농약이 살포되는 곳, 골프장은 여전히 생물종으로 비옥했던 ...
-
<칼럼>수자원공사는 팔당지역 고통 이해해야
한국수자원공사가 댐을 지은 뒤 건설비용 회수 차원에서 물값을 거둬들이는 가운데 지자체들이 댐 용수(用水) 사용료 징수의 법적인 근거가 약하고, 형평성에도 크게 어긋난다고 반발하고 있다.서울시와 춘천시가 수공과 물값과 관련한 논쟁을 벌인데 이어 팔당광역상수원 인근에 위치한 용인, 광주, 남양주, 이천, 여주, 양평, 가평 등 팔당...
-
지구를 지키는 일, 실천이 중요
이경율 회장 (사)환경실천연합회오늘은 지구환경문제에 대한 범시민적 각성과 참여를 통해 지구환경 위기 극복을 위한 뜻을 모으고 표현하는 날로 전 세계인의 환경기념일이라 볼 수 있는 '지구의 날'이다.인류가 수십만 년을 지구와 함께 했지만, 정작 지구의 고마움을 알고 보전하기 위해 지구의 날을 제정한 것은 고작 40년이 안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