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2024 신년사-가평군의회 의장>현장 중심 의정활동 이어갈 터
【에코저널=가평】존경하는 가평군민 여러분!2024년 갑진년(甲辰年) 푸른 청룡의 해, 희망찬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를 맞이하여 군민 여러분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고, 소망하시는 모든 일이 이뤄지는 복된 한 해가 되길 기원합니다. 사랑하는 군민 여러분!2024년 올해는 제9대 가평군의회가 구성돼 새로운 출발을 한 지가 벌써 2년...
-
<2024 신년사-광주시장>‘수도권 중심도시’ 변모 꾀할 것
【에코저널=광주】존경하는 41만 광주시민 여러분! 2024년 갑진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어느덧 민선 8기도 전반기를 지나 후반기를 시작하는 반환점에 서 있습니다. 지난 한 해는 취임 시 시민분들께 드린 약속을 차근차근 이행해 나가고, 누구나 살고 싶은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초석을 다지는 일에 매진했습니다. ‘현장에 답이 있다’...
-
<2024 신년사-농협중앙회장>‘함께하는 100년 농촌’ 추진 원년
【에코저널=서울】에코저널 독자 여러분, 존경하는 농업인 여러분과 국민 여러분, 사랑하는 농협 가족 여러분! 새로운 희망과 기대로 가득한 2024년 갑진년(甲辰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상서로운 청룡의 해를 맞아 여러분의 가정에 만복이 깃들고, 건강과 행운이 늘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지난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소중한 농업의 가...
-
<2024 신년사-보건복지부 장관>민생 보호·개혁 추진 약속
【에코저널=세종】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2024년 갑진년(甲辰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힘차게 비상하는 청룡의 기운을 받아 올 한해 행복과 행운이 가득하기를 바랍니다. 2023년 보건복지부는 약자복지, 필수의료 확충 그리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개혁과제 추진이라는 가치하에 그 어느 때보다 분주한 한 해를 보냈습니다. 생계급여 지원...
-
<2024 신년사-산림청장>숲으로 잘사는 ‘글로벌 산림강국’
【에코저널=대전】에코저널 독자 여러분, 전국의 220만 산주와 임업인 여러분, 산림공직자와 국민 여러분! 2024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를 맞아 여러분과 여러분의 가정에 희망과 행복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돌이켜보면, 지난해는 우리 산림행정과 산림산업분야에서 아주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던 한 해였습니다. 국토녹화 50주년을 맞...
-
하남시 시조(市鳥) ‘고니’ 변경 제안
【에코저널=하남】대한민국 모든 지자체는 상징물이 지정돼 있다. 상징물은 지자체를 대표하는 것으로 각 지자체의 정체성을 담고 있어야 한다. 지역의 특징, 역사적 배경, 인문 사회적 배경, 생태적 가치를 담고 있어야 하고, 시민 정서와 시민 의식을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 시민의 지지와 사랑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하남시의...
-
‘불조심 강조의 달’, 적극적 국민 동참이 중요
【에코저널=하남】화를 당하기 전에 재앙을 미리 막는다는 ‘방환미연(防患未然)’이 필요한 시기다. 화재 예방 중요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11월은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는 계절이다. 화재 위험이 높은 겨울철의 화재 예방에 대한 노력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기다. 추위를 앞두고 가정집에는 치워놨던 전기장판, 전기난로 같은 전열...
-
‘적극행정’으로 산불재난 대응능력 강화
【에코저널=진천】이상기후에 의한 동시다발적이고 대형화된 산불 발생으로 전 세계가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올해 캐나다는 1천 건이 넘는 산불이 발생하며 역사상 전례 없는 재앙적 산불로 국경을 넘어 미국까지 피해를 입었다. 미국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하와이주에서 발생한 산불은 많은 사상자와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가져왔다. 현...
-
‘엉터리 소규모환경영향평가’ 면죄부 준 대구지방환경청
【에코저널=서울】법정보호종을 대거 누락시킨 사실이 확인되는 등 기존 조사가 거짓·부실 투성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금호강 사색있는 산책로’ 소규모 환경영향평가에 대해 사실상 면죄부가 주어졌다. 어제(20일) 열린 대구지방환경청 거짓부실검토전문위원회는 단 한 차례의 회의를 통해 ‘금호강 사색있는 산책로’...
-
‘일회용품 줄이기’, 재정의 필요
【에코저널=서울】일회용품 줄이기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하다. (사)환경실천연합회(이하 환실련, 회장 이경율)는 지난 7일 정부가 종이컵 사용금지 규제 제외 및 플라스틱 빨대 금지 계도기간을 무기한 연장하면서 식당이나 카페에서 플라스틱 빨대 및 종이컵 등 일회용품 사용을 계속 허용하기로 발표한 바에 대해 일회용품 줄이기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