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
걷기 열풍의 위기
【에코저널=서울】걷기 문화는 세계적으로 이미 오래 전부터 하나의 추세로 자리 잡고 있다. 파울로 코엘료의 '순례자' 발간 이후 한국인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스페인의 '산티아고 순례길'은 이천년에 달하는 유구한 역사를 가졌으며, 영국의 트레일 문화를 받아들여 20년 동안 조성된 미국의 '존뮤어 트레일'도 95년의 ...
-
북한산성 축성 300주년을 맞아
손동호 소장(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에코저널=서울】많은 이들이 '북한산'하면 인수봉, 백운대, 만경대 등 세 개의 뿔이 있는 삼각산으로 상징되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이야기하거나 서울의 진산으로서 풍수지리적 의미를 쉽게 떠올린다. 그러나 북한산에 서울 방위를 위해 쌓았던 북한산성이 있...
-
소백산행 일기(抄)
소석(小石) 김영덕(소백산국립공원 지킴이)【에코저널=단양】푸른 하늘에 떠도는 흰 구름숲을 헤치고 멀리 눈에 들어오는 산과 산은 마치 해무에 쌓인 섬들 같아 이는 산에 온 것이 아니라 광활한 바다에 나와 있는 듯 하다. 진경산수, 필묵으로 그려내는 산수화의 여백과 그 가득 참이 함께 어우러져 펼쳐지는 것이다....
-
해양투기, 무조건 금지가 능사인가?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2012년부터 가축분뇨와 하수오니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고, 2013년부터는 음식폐기물에서 나온 폐수도 바다에 버리지 못하게 된다. 또한 2014년에는 모든 종류의 폐기물이 해양투기되지 못한다. 즉, 폐기물하수, 폐수 찌꺼기, 축산폐수, 음식물쓰레기 침...
-
세계 자원순환의 날 제정하자
이경율 회장 (사)환경실천연합회【에코저널=서울】오늘은 '제3회 자원순환의 날'이다. 한국정부의 환경기념일로 자리매김한지 벌써 3돌을 맞는다.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의 의미는 9를 뒤집으면 6이라는 숫자가 되고 6을 뒤집으면 9라는 숫자가 된다는 데에서 버리면 쓰레기이지만, 다시 활용하면 자원이 된다는 상징적인 메시지를 전해...
-
샛길로 몸살 앓는 북한산
손동호 (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장)【에코저널=서울】북한산은 연간 일천만 명이 넘는 탐방객이 찾는 도시형 국립공원이다. 북한산은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탐방객이 찾아 1994년 기네스북에도 오른 훼손위협이 가장 높은 공원이다.그동안 북한산은 많은 탐방객의 방문으로 몸살을 앓아왔다. 입장료 폐지, 주5일 근무, 웰빙...
-
물난리, 인재가 부른 '대재앙'
이경율 회장 (사)환경실천연합회【에코저널=서울】몇 일째 연이은 집중호우 속에 수도 서울의 도시기능이 통째로 마비되고 각광받던 주거지역 중 하나인 서초구에 위치한 우면산 자락이 하루아침에 세 곳이나 산사태로 소중한 인명과 재산을 앗아갔다.언론에서는 104년만의 물난리, '물 폭탄'이라는 등 사전예고 없이 다가온 재앙이라...
-
물바다 된 대한민국
이학박사 이승호 (한국종합환경연구소 이사·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집중호우로 서울 도심 곳곳이 물바다가 됐다.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28일 서울에 내린 비는 301.5㎜로 집계됐다. 서울을 비롯해 강원도와 부산에도 많은 비가 내려 전국 곳곳이 물난리가 났다. 산은 무너지고, 도심 도로는 거대한 하천으로 변했다. 하천은 범람했...
-
온실가스 줄이기, 선택이 아닌 '필수'
이승호 박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수석연구원)최근 유가 급등으로 인해 유가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유류는 경제성장에 큰 원동력이며 우리 생활에서도 뗄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생활 물품 중 많은 부분이 유류에서 추출된 물질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그 만큼 석유에 대한 의존도는 높다.하지만 ...
-
심는 하루보다 가꾸는 일년이 더 중요
이경율 회장 (사)환경실천연합회【에코저널=서울】해마다 4월 5일을 식목일로 지정하고 나무심기 운동이 전국일원에서 정기적인 행사로 이어지고 있다.하지만 식목일날 나무심기 운동으로 조성된 녹지보다는 산불로 인해 훼손된 산림면적이 봄철 가뭄이 거듭될수록 늘어가는 추세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산불 10건 중 6건은 봄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