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
경안천을 살리고자 하는 의지가 과연 있는지 ?
이승호 수석연구원 (한국종합환경연구소)필자는 지난 4일 경안천이 흐르고 있는 용인지역을 다녀왔다. 경안천은 용인시와 광주시를 흐르는 하천이다. 길이는 26.8km이고 유역면적은 208.37㎢이다. 경안천의 발원지는 용인시 이동면 어비리 저수지이며, 능원천(陵院川)·곤지천(昆地川)과 합류해 남한강으로 흘러든다. 이 물은 수도권 2400만...
-
'녹색성장'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이승호 수석연구원 (한국종합환경연구소)요즘 신문, TV, 모임 등 어디를 가나 가장 많이 듣는 단어가 녹색성장, 저탄소, 온실가스, 친환경개발, 웰빙 등 환경에 관한 단어다. 환경은 우리 주변을 둘러싼 모든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경제가 발달하고 의, 식, 주가 해결됨에 따라 보다 좋은 환경에서 살고 싶은 것이 어쩌면 모든 사람의 본능이다...
-
저탄소 녹색성장, 농업발전의 성장동력으로 활용
김창길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온도와 해수면 상승, 기상재해 빈발, 생태계 변화 등을 통해 기후변화 현상이 가시화되면서 범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유럽과 일본 등은 교토의정서를 통해 할당받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이행 중이며 2013년부터 모든 국가를 ...
-
환경 고려않는 신도시 계획 '우려'
이경율 회장 (사)환경실천연합회새 정부 들어 경기도 지역의 신도시 건설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오산세교지구와 인천 검단지구 비롯한 고양시도 시가화 예정용지로 지정하고 이달 16일부터 건축 행위를 제한하는 내용의 주민공람을 공고했다.그러나 이렇게 지정된 신도시 예정지는 세부적인 밑그림과 도시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안 ...
-
2011년 세계유기농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제언
김창길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집약적 농업생산 활동이 유발하는 환경문제로 화학비료와 농약 등 화학적으로 합성된 농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업이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지도 거의 30년이 된다.1990년대 들어 유기농업은 토양과 생태계는 물론이고 사람의 건강을 유지하는 농업생산 시스템으로 인식되면서 국...
-
막걸리가 뭔지 아시나요?
동네 한가운데 정자나무 아래 막걸리잔을 기울이시던 어르신들이 생각난다. 아마 우리 전통이 무엇인지 나는 그것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얼마나 많이 다음세대에게 전해줄 수 있는지 이런 것들을 가끔 생각해본다.와인이 세게 제일의 술인 것처럼 잘 팔리는 세상, 위스키가 아니면 술이 아닌 것 같은 세상을 살고 있다.외국에서 친구가 왔...
-
자연에 대한 경외감이 필요한 때
이승호 수석연구원 (한국종합환경연구소)이제 장마가 막바지에 들어섰다. 휴가철이 시작 된 것이다. 이 시기가 되면 자연은 늘 위기를 맞는다. 수많은 인파가 산과 바다로 이동하면서 엄청난 쓰레기와 자연훼손을 해왔던 것이 사실이다.올해는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물론 휴가를 다녀오면서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않고 자연훼손도 ...
-
환경규제, 이제는 그만 풀어야
이경율 회장 (사)환경실천연합회'같은 용도에 다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한번 사용하도록 고안된 제품으로써 대통령령이 정하는 제품' 자원절약법 제2조 제10호에 명기된 1회용품에 대한 정의다.요즘 이 1회용품들에 대한 규제가 망아지 고삐 풀리 듯 줄줄이 풀리고 있다. 새 정부가 들어서고 난 이후, 커피전문점 등에서 사용...
-
초고유가 시대, 슬기롭게 대처해야
이승호 수석연구원 (한국종합환경연구소)지난 2008년 6월 16일 기준유가는 Dubai유 131.03$, Brent유 135.11$, W.T.I유 134.86$가 되었다. 그야말로 유가는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석유가 나오지 않아 전체사용량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유가의 상승은 물가상승으로 이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고, 산업계에서는 적자운영으로 파업도 ...
-
작은 실천, 환경문제 해결의 단초
이승호 수석연구원 (한국종합환경연구소)산업혁명이후 공업화가 진행되면서 인류가 급속도로 쏟아낸 많은 인위적 물질들은 물질순환의 불균형을 초래했다. 물질순환 불균형은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적요인과 비생물적요인의 절묘한 균형을 갈기갈기 찢어 놓아 결국 환경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파괴로 인류는 현재 이상기후, 기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