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
양식어업 증가로 해양 부영향화 가속
이승호 책임연구원(한국수권환경연구센터)연안역은 해양, 육지, 대기가 만나 복합적 상호작용을 하는 경계지역으로 육지에서 오는 인위적 스트레스가 매우 높은 곳이다.우리나라 대부분의 연안역은 인구밀집 지역과 대단위 산업시설 및 양식어업이 집중돼 가정하수·산업폐수 방출, 농업 비료 사용, 양식사료 유...
-
표준화로 EU 환경규제 극복해야
지구촌 환경문제에 대한 범세계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단순한 환경오염 예방을 넘어 친환경적인 제품의 생산·사용·폐기 시스템 개발에 대한 각국의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최근에는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미국 등 선진국들이 전기·전자제품 내에 유해물질 사용규제 및 생산제품의 환경성 정보공개요구가 강화추세...
-
친환경 축산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김창길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환경연구팀장)Ⅰ.서론정부는 1990년대 초부터 가축생산으로부터 환경오염부하를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대책을 수립, 추진해오고 있다.가축분뇨처리 문제해결을 위해 지난 1992년부터 2002년까지 축산분뇨처리시설지원 사업(농림부 지원사업)에 약 1조 333억원, 축산폐수공공처리사업(환...
-
웰빙시대 버섯 소비자의 니즈는?
지구상의 생태계는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의 3대 요인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다.에코저널 홈페이지에 마련된 "버섯이야기"는 이 삼자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길잡이가 되고자 탄생했다고 생각한다.필자는 버섯이라는 곰팡이 미생물을 연구하고 교육하며 지금까지 살아왔고 앞으로도 버섯과 동거동락 할 것이기에 버섯사랑이 남다르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