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강버스’ 졸속 추진 책임 물어야

메뉴 검색
서울시 ‘한강버스’ 졸속 추진 책임 물어야 서울환경연합, 국회서 ‘한강버스 점검 토론회’ 열어   남귀순 기자 2024-10-16 23:09:16

【에코저널=서울】서울환경연합은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서울 광진을)·장경태 의원(서울 동대문을),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과 공동으로 16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5간담회의실에서 ‘한강버스 점검 토론회’를 열었다.

 

고민정 의원은 인사말에서 “지역구에 있는 자양역이 유동인구가 많지만 대부분 주말에 뚝섬유원지를 이용하는 분들 즉 관광 목적”이라며, “서울시가 ‘한강버스는 관광이 아니라 출퇴근용 선박’이라고 하고 있기 때문에 목적에도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토론회에서 한강버스의 생태영향을 발표한 최영 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팀장은 “한강버스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개발하는 수 많은 수상시설들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점점 자연성을 훼손하게 될 것”이라며 “기후위기 시대에 걸맞은 한강 정책을 재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상철 공공교통네트워크 정책센터장은 “한강버스는 전례가 없는 방식으로 타당성 조사를 진행했다. 공항, 철도, 도로에서 쓰는 방법을 따다가 진행했다”면서 “이런 방식은 ‘혁신’이거나, ‘사기’로 귀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서울시가 2017년에 한강에 수상버스를 검토했던 방식과 달리 2024년에는 일부 선착장과 선박건조 비용을 줄이는 방식으로 경제성을 분석했다”며 “총 사업비를 줄이기 위한 꼼수”라고 강조했다.

 

김 센터장은 “수익에 관한 부분도 과도하게 계산됐으나, ‘시 운영 손실보전금으로 상환한다’는 계획”이라며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앞으로 발생할 문제에 대해 오세훈 시장과 SH공사 사장, 관련 연구기관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현정 녹색정치Lab 그레 소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에서 이상현 우리모두의교통운동본부 상임활동가는 “서울시 주장대로 한강버스가 과연 대중교통인지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며 “이동권, 안정성, 경쟁력 등 모든 면에서 결코 대중교통으로 기능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왕복근 공공운수노조 서울지역본부 조직국장은 “한강버스는 굉장히 불편한 교통수단”이라며 “접근성 개선을 위해 따릉이나 버스노선을 확충할 이유가 무엇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왕 국장은 “한강버스에 투입할 예산으로 차라리 시내버스를 완전공영제로 전환하는 것이 낫다”며 “서울시가 2천명 규모의 서울교통공사의 인력감축을 추진하면서, 대중교통이라서 한강버스의 적자를 감수하겠다는 오세훈 시장의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신재은 풀씨행동연구소 캠페이너는 “과거 한강르네상스에 자연성회복을 위한 좋은 사업이 많이 있었다”면서 “그런 사업을 펼쳐서 오세훈 시장이 평가받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신 캠페이너는 “강을 가장 착취하는 사업이 선박 운항”이라며 “강바닥을 준설하는 것이 강 생태계에 가장 치명적”이라고 강조했다.

 

강현주 퍼시픽인바이런먼트 컨트리디렉터는 “차라리 솔직하게 ‘한강버스가 관광용’이라고 말했으면, 평가할 부분이 있었을 것”이라며, “하이브리드 선박이라고 ‘친환경’이라고 얘기하는 것은 전형적인 그린워싱”이라고 지적했다. 강현주 컨트리디렉터는 “서울시가 항구도시가 되면 배출가스 등 다양한 오염으로 인해 시민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오늘 토론회에 참여한 시민들은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촉구하거나, 한강버스로 인한 철새 영향에 대한 우려 등을 전하면서 한강버스 전면 백지화를 주장했다.

오피니언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