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수온 상승 인한 생태계·수산업 영향 ‘뚜렷’

메뉴 검색
급격한 수온 상승 인한 생태계·수산업 영향 ‘뚜렷’ 수과원,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브리핑 북 발간    고효준 기자 2025-04-24 10:08:03


【에코저널=부산】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우리나라 해역의 기후변화 현황과 해양생태계와 수산업에 끼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한 ‘2025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브리핑 북’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브리핑 북에 따르면 최근 57년간(1968~2024년) 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했으나, 우리나라 해역은 1.58℃ 상승해 2배 이상 빠르게 증가했다.

 

동해의 표층 수온 상승 폭(2.04℃)이 가장 컸다. 이는 최근 동해로 열을 수송하는 대마난류 세력 강화와 여름철 지속적인 폭염 증가로 인한 해수면 부근의 성층(Stratification) 강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해양의 기초생산력를 나타내는 클로로필-a 농도는 2003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서해와 동해 중부 해역에서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다. 2024년 기준 기초생산력은 전년 대비 21.6% 감소해 우리 바다의 생태계 생산성 감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24년에는 9월 하순까지 이어진 고수온 현상으로 1430억원 규모의 양식생물 피해가 발생,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2년 이후 최대 피해액을 기록했다. 연근해 어업생산량도 1980년대 151만톤에서 2020년대에는 91만톤 수준으로, 2024년에는 84.1만톤까지 감소해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업의 영향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이번 브리핑 북을 과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어업인과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국립수산과학원 전자도서관 누리집(https://www.nifs.go.kr/library/)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기후변화는 우리 바다와 수산업 전반에 걸쳐 예상보다 빠르고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브리핑 북을 통해 해양수산분야의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높이고, 대응능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