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저널=세종】환경부는 굴뚝 원격감시체계(TMS)로 실시간 오염도를 관리하고 있는 전국 대형사업장 965곳의 2024년도 연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전산처리 결과를 관련 누리집(cleansys.or.kr)에 6월 27일 공개한다고 밝혔다.
굴뚝 자동측정기기가 부착된 전국 대형사업장은 2024년 말 기준으로 전년(2023년) 대비 22곳(2.3%) 증가한 965곳이다. 굴뚝 수도 206개(6.1%)가 늘어나 총 3589개로 나타났다. 이들 사업장은 굴뚝 원격감시체계를 통해 대기오염물질 배출 농도와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관리(한국환경공단) 받는다.
2023년 말까지 굴뚝 원격감시체계로 관리되던 대형사업장 943곳의 2024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전년(2023년) 배출량(22만 441톤)에 비해 7.3% 감소한 20만 4370톤으로 조사됐다.
실시간 배출농도 확인.2024년에 새로 부착한 시설을 포함해 굴뚝 자동측정기기가 부착된 전국 대형사업장 965곳(굴뚝 수 총 3589개)의 2024년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20만 7724톤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리대상 굴뚝 수가 증가했음에도 불구, 전년 배출량(22만 441톤) 대비 5.8% 감소한 결과다.
한편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의 2022년도 국가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조사자료에 따르면 전체 대기배출사업장(발전, 산업분야)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중 주요 대기오염물질(먼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의 배출량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전·산업 부문의 적극적인 감축 정책(노후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폐쇄, 사업장 배출 관리 강화 등) 시행 효과와 연료 사용의 변화(석탄·B-C유→LNG) 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사업장(발전·산업) 부문 주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2016~2022년) 굴뚝 원격감시체계로 관리되는 대기오염물질 7종의 2024년 업종별 배출량은 ▲제철·제강업이 6만 5846톤(31.7%)으로 가장 많았고, ▲발전업 6만 439톤(29.1%), ▲시멘트제조업 4만 3851톤(21.1%), ▲석유화학제품업 2만 3534톤(11.3%) 순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2024년 한 해 동안 굴뚝 원격감시체계로 관리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에 대해 사업장의 이의신청 등 검증을 거친 후 6월 27일까지 최종 확정하고, 통계자료와 함께 누리집에 공개할 예정이다. 확정된 자료는 대기배출부과금 산정, 사업장 대기배출허용총량 산정 등 행정자료로 활용된다.
사업장별 대기오염물질 연간 배출량 확인.
환경부 양한나 대기환경정책과장은 “굴뚝 자동측정기기를 이용한 배출량 산정 방식은 가장 신뢰성이 높은 방법”이라며 “앞으로도 사업장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과학적인 관리를 통해 오염원의 자율적 관리를 유도해 국내 대기질 개선 정책을 견인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