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
서울시, 먹는 물 ‘아리수’ 음용 확산 캠페인 전개
【에코저널=서울】서울시가 먹는 물 ‘아리수’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자 캠페인을 전개한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아리수 음용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다양한 홍보활동을 본격 추진한다. 시는 감성적인 광고, 체험프로그램, 온라인 콘텐츠 등 다채로운 방식으로 공감대를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이번 캠페인은 습관적으로 생수를...
-
NHN KCP, 환경문제 해결 모색 임직원 ESG 특강
【에코저널=서울】종합결제기업 NHN KCP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활동의 일환으로 지난 17일 서울 구로구 사옥에서 NHN KCP, NHN페이코 임직원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순환경제 교육’을 진행했다고 18일 밝혔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을 초청해 진행된 이번 특강은 ‘환경 및 쓰레기 문제, 올바른...
-
오세훈 서울시장, 빗물저류조 점검…침수피해 예방 당부
【에코저널=서울】오세훈 서울시장이 18일 오전 본격적인 장마철을 앞두고, 반복되는 국지성 폭우와 기후위기에 대비하기 위한 현장점검에 나선다. 오세훈 시장은 지난 5월 저류조 가동을 시작한 도림천 일대 ‘신림공영차고지 빗물저류조 현장’과 ‘서초구 염곡동서지하차도’를 차례로 방문해 수해 방지시설 정상 작동 상태...
-
성남시 24곳 물놀이장 21일부터 순차 개장
【에코저널=성남】성남시는 공원, 주택가 공공놀이터, 탄천 둔치 등 24곳에 물놀이장을 조성해 오는 6월 21일부터 차례로 개장한다. 공원 내 물놀이장은 11곳이다. 지역별로 수정지역은 희망대·단대·영장·위례역사·고산공원(5곳), 중원지역은 은행·대원·사기막골공원(3곳), 분당지역은 능골·태현·화랑...
-
수원시, 침수우려지역 하수도 준설·빗물받이 정비
【에코저널=수원】수원시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해 관내 침수우려지역 내 하수도를 준설하고, 빗물받이를 정비했다. 우수관로 내 퇴적물·이물질 제거, 빗물받이 주변 쓰레기 청소 등을 중점적으로 진행했다. 수원시는 지속해서 하수관로 점검과 빗물받이 정비를 할 계획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하수도 준설과 빗물받이 청소는 시...
-
경기도, 양주·포천·가평·연천 계곡‧하천 수질조사
【에코저널=의정부】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은 여름철을 맞아 양주 일영유원지, 포천 백운계곡, 가평 용추계곡, 연천 아미천 등 주요 물놀이 지역 4곳에 대한 수질조사를 실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조사는 6월부터 9월까지 총 11회 이상, 상·하류 모두 진행될 예정이다. 6월에는 격주, 7~8월 본격 휴가철에는 주 1회, 9월에는 월 1회 ...
-
4대강 수계 미량오염물질 관리 전문가 토론회
【에코저널=서울】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18일 오후 그랜드센트럴(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미량오염물질 관리 체계 및 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4대강 수계 미량오염물질 전문가 토론회(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미량오염물질’은 산업용 화학물질, 농약, 의약품, 생활화학제품 등의 잔류 물질로서 수중에 극...
-
진해만 해역, 산소부족 물덩어리 발생 장기화
【에코저널=진해】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장은 경남 진해만 서부해역이 여름철 산소부족 물덩어리(빈산소)가 발생하기 쉬운 해양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진해만은 1970년대부터 양식업이 시작돼 현재 굴, 담치, 피낭류, 어류 등 수산물 생산에 중요한 해역이나, 매년 산소부족 물덩어리 발생과 여름철 고수온으로 양식생물 폐...
-
성남시 물관리 정책, 기술 혁신 방안 모색
【에코저널=성남】성남시는 17일 오후 2시, 시청 2층 모란관에서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상하수도 분야 혁신 포럼’을 개최했다. 오늘 포럼은 성남시 상하수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물관리 정책과 기술 혁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 최승일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아 ...
-
동해 연안, 올해 첫 냉수대 발생
【에코저널=강릉】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장은 6월 16일 오후 4시 기준, 올해 처음으로 동해(강원 삼척~부산 기장) 연안에서 냉수대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냉수대’는 주변 해역의 수온보다 4~7℃ 낮은 ‘찬물덩어리’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에 발생한 냉수대는 1주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바람 방향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