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
한강유역환경청, ‘올바른 야적퇴비 관리’ 주민 교육
【에코저널=하남】한강유역환경청은 장마철을 대비해 오는 6월까지 야적퇴비의 올바른 관리방안을 주제로 주민 교육을 한다. 교육 대상은 팔당댐으로 유입되는 지류·지천을 가지고 있고, 축산·영농농가가 많은 한강수게 광주시, 여주시, 이천시, 양평군, 용인시 등 5개 지자체 주민이다. 주민 교육은 잘못 쌓아둔 퇴비는 비가 오면...
-
관악구, 서울시 하수도 관리실태 평가 ‘최우수 자치구’
【에코저널=서울】서울 관악구가 2024년 서울시 25개 자치구 대상 풍수해 대응 평가에 이어 '하수도 관리실태 평가'에서도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최우수 자치구’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하수도 관리 평가’는 ▲예산·설계 ▲유지관리 ▲시공 ▲시책 협력 4개 분야 20개 항목으로...
-
이천시, 이천하수처리장 악취저감 컨설팅 논의
【에코저널=이천】이천시는 이천하수처리장 악취저감 컨설팅에 대해 지난 15일 중간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보고회는 이천시가 이천하수처리장의 악취저감을 위해 환경기초시설 악취전문컨설팅 기업인 (주)태성환경연구소와 지난 2024년 12월 30일에 체결한 업무협약에 따라 마련됐다. (주)태성환경연구소 문남구 부사장의 발표로 진행된...
-
경기도, 하천분야 비상근무 체계 가동
【에코저널=수원】경기도는 여름철 하천 범람과 수해를 예방하기 위해 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를 경기도 풍수해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하천분야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한다고 16일 밝혔다. 먼저 경기도는 기상상황에 따른 비상대응을 위해 도 재난안전대책본부와 연계해 ‘하천과 자체 상황실’을 운영한다. 자체 상황실...
-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용수 2031년부터 하루 31만톤 공급
【에코저널=세종·대전·용인】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5월 16일부터 ‘용인 반도체 산업단지 통합용수공급 사업’ 1단계에 대한 기본 및 실시설계가 시작된다고 밝혔다. ‘용인 반도체 산업단지 통합용수공급 사업’은 국가산단(삼성전자)과 일반산단(SK하이닉스 등)이 입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용인 반도체 클러...
-
한강유역환경청, 비점오염원 설치신고 사업장 대상 교육
【에코저널=하남】한강유역환경청은 15일, 수도권 비점오염원 설치신고 사업장 약 120개소를 대상으로 ‘장마철 대비 비점오염원 설치신고사업장 대상 교육’을 했다. 오늘 교육은 잦은 집중호우로 비점오염물질의 하천 유입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지는 장마철을 대비해 각 사업장 내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적정 관리하고 시설 관리자...
-
용인시, ‘안심 수돗물 시민 공감 아카데미’ 개최
【에코저널=용인】용인특례시는 ‘안심 수돗물 시민 공감 아카데미’ 1기를 14일부터 시작했다고 15일 밝혔다. 수돗물평가위원회와 함께 마련한 이번 아카데미는 시민이 직접 정수장을 방문해 수돗물의 생산과정을 배우는 체험형 교육이다. 1기 아카데미에는 수돗물평가위원회위원들과 시청 공직자, 지역 청년 등 30여명이 참여했다. ...
-
국립수산과학원, 고수온 대비 여수 거문도 양식장 점검
【에코저널=여수】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5월 14일, 전남 여수 거문도 소재 양식장을 방문해 고수온 대비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고수온에 의한 양식생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온이 양식생물의 생존 상한 수온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장에서는 고수온 발생 이전에는 액화산소 공급기 등 대응 ...
-
용인시, 소규모 개인하수처리시설 공동관리비 지원
【에코저널=용인】용인특례시는 23일까지 일 처리용량 50㎥ 미만의 소규모 개인하수처리시설 공동관리비 지원사업 참여 희망자를 모집한다고 15일 밝혔다. 용인시는 관리가 이뤄지지 않거나 고장시설물 방치로 정화되지 않은 하수가 하천으로 유입돼 수질오염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전문관리업체 위탁관리비와 소모품 교체 ...
-
아시아물위원회, 유엔환경계획 공인기관 지정받아
【에코저널=세종】환경부는 아시아 최대 물 협력 기구인 아시아물위원회(AWC)가 올해(2025년) 5월 14일자로 유엔환경계획(UNEP)의 ‘물분야’ 공인기관 지위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아시아물위원회는 기후적응력이 부족한 아시아 국가에 홍수·가뭄 대응을 위한 물관리 시스템 및 안전한 상하수도 기반시설(인프라) 구축 등 지속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