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 실질적 정책 개선 도출 모색
【에코저널=파주】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회장 주광덕 남양주시장)는 16일, 파주 DMZ생태관광지원센터에서 민선 8기 제8차 정기회의를 열어 모두 40건의 안건을 심의가 진행했다. 경기도내 28개 시·군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정기회의는 시장·군수 간의 현안 공유·협력 방안 논의를 통한 실질적인 정책 개선을 도출하기 위해 마...
-
최진용 하남시체육회장, 체육시설 인프라 부족 호소
【에코저널=하남】최진용 하남시체육회장(57)이 체육시설 등 체육관련 인프라 확충의 시급함을 호소했다. 최진용 하남시체육회장은 16일 오전 11시, 하남시청 출입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올해 인구 8만명이 조금 넘는 가평군에서 경기도체육대회가 열렸지만, 인구 33만명의 넘는 하남시는 대회를 치를 인프라가 전혀 갖춰지지 않았다...
-
하남시 세무행정 ‘주목’…‘이달의 지방세인’ 선정
【에코저널=하남】하남시가 한국지방세연구회에서 발간하는 ‘월간 지방세연구’ 6월호에 ‘이달의 지방세인’으로 선정돼 전국 지방세 행정의 모범 사례로 소개됐다. ‘월간 지방세연구’는 지방세 제도의 최신 동향과 실무, 우수 사례를 다루는 전문 간행물로, 매달 지방세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낸 지자체를 ‘...
-
외국인 계절근로자 ‘한국문화 체험’ 행사 열려
【에코저널=수원·용인·연천】경기도는 지난 14일 경기도 먹거리광장에서 연천군 공공형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대상으로 한국문화 체험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외국인 계절근로자에게 한국의 정서와 문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체험에 참가한 연천군 공공형 계절근로자 29명은 지난 4월 1일 ...
-
양평군,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양평’ 무색
【에코저널=양평】‘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양평’을 홍보해 온 양평군의 현실이 정반대인 부분이 드러났다. 최영보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어젯밤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용문국민체육센터 수영강습과 관련, 아이들의 접수를 위해 부모들이 저녁부터 새벽까지 줄을 서야 있는 고충을 전했다. 최영보 의원은 “오늘(6월 ...
-
‘기억을 품고, 삶을 잇다’… 하남시의 따뜻한 보훈정책
【에코저널=하남】호국보훈의 의미를 되새기는 6월. 하남시는 국가를 위한 숭고한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며, 그 가치를 오늘의 행정과 정책으로 실천하고 있다. 하남시는 다양한 정책과 공간, 그리고 따뜻한 행정을 통해 그 정신을 시민과 함께 나누고 있다. 그 길 위에는 존경과 예우, 그리고 사람을 향한 진심이 함께 걷고 있다. 김기엽 여...
-
농협 ‘NH하나로목장’ 가입자 2만명 돌파
【에코저널=서울】농협경제지주가 자사 축산 정보플랫폼 ‘NH하나로목장’의 누적회원 2만명 돌파를 기념해 2만 번째 가입자에게 농협라이블리 한우(1++등급) 선물세트를 증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플랫폼 성장을 함께한 한우농가와 회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마련됐다. 행운의 주인공은 전라남도 장성군 한우농가...
-
하남도시공사, 2년 연속 ‘공정채용 우수기관’ 선정
【에코저널=하남】하남도시공사가 2024년에 이어서 한국경영인증원(KMR)으로부터 2년 연속‘공정채용 우수기관’인증을 획득했다. 한국경영인증원이 주관하는 ‘공정채용 인증제도’는 채용에 편견적 요소를 배제하고 직무능력 중심의 공정채용을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공공기관, 기업을 선정해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심사...
-
하남시의회 금광연 의장 발의 ‘웰다잉’ 조례 상임위 통과
【에코저널=하남】하남시의회 금광연 의장(국민의힘, 가선거구)이 발의한 ‘하남시 웰다잉(Well-Dying) 문화조성에 관한 조례안’(이하‘웰다잉 조례안’)이 지난 10일 하남시의회 도시건설 상임위원회 심사를 통과했다. 오는 13일 열릴 제340회 하남시의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웰다잉 조례안’이 의결되면, 하남시민들...
-
월드쉐어, 탄자니아 아동 노동 예방 ‘지역아동센터’
【에코저널=서울】오는 6월 12일은 국제노동기구(ILO)가 지정한 ‘세계 아동 노동 반대의 날’이다.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어린이들이 여전히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한 채 노동 현장에 내몰리고 있다. 탄자니아에서는 5~17세 아동 중 약 25%가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의 저소득층 아동들은 장시간의 노동으로 학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