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
하천 수질개선 위한 자연정화 기능 살려야
이승호 책임연구원(한국종합환경연구소)인간 활동이 다변화하고, 활동량이 증가됨에 따라 축산, 농경, 생활하수, 폐수 등이 하천으로 유입돼 오염을 유발시키게 된다. 또 비점오염원 증가로 오염부하량 산정 조차 정확하지 않아 오염저감 시설 등의 장기적인 하천오염 저감 계획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하천 오염이 감...
-
자연에 열린 공간, 그것이 '자연'
이승호 책임연구원(한국종합환경연구소)환경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진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도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는 기대 이하다.최근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환경 이슈는 '복원(復元, restoration)'이다. 복원은 본래대로 돌려 놓는 것이다. 하지만 복원이라는 용어를 늘어놓는 곳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인간...
-
하천복원은 자연에게...
이승호 책임연구원(한국종합환경연구소)육수생태계(inland ecosystem)는 정수 생태계(lentic ecosystem), 유수생태계(lotic ecosystem), 소택지(marsh) 및 습지 생태계(wetland ecosystem)로 구분된다(odum, 1983).육수생태계에는 다양한 수생식물이 생육해 야생동물의 생활을 지탱해주기에 종이나 생물 다양성의 보전에 매우 중요한 생태계라 ...
-
추억 속의 맑은 실개천
이승호 책임연구원(한국종합환경연구소)요즘 도심에는 실개천을 볼 수 없다. 도심지역에 있던 실개천은 도로 혹은 주택이나 건물 아래로 사라졌을 것이다.도심에서 조금 벗어나면 실개천을 만날 수 있다. 그런데 그 모습을 보고 있자면 한숨부터 나온다. 퇴적물이 심하게 쌓여 냄새가 진동하고, 잉크빛 보다 진한 검...
-
바다도 건강진단 받아야
공학박사 이지왕(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회장)정기 건강검진은 1∼2년에 한번씩 받는다. 이는 예방의학적 조치로 혹시 있을지 모를 더 큰 병들을 미리 발견해 조기치료하고자 함이다. 우리가 이용하는 해역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정기검진을 실시한다면 더 큰 병들을 조기 발견해 치료할 수 있다. 일본에서 진행되는 새...
-
재활용은 인류의 책무
이승호 책임연구원(한국종합환경연구소)산업화와 경제발전이 가속화되면서 물질이 매우 풍요로운 시대를 맞고 있다. 풍부한 물질을 잘 활용해야 하는데 우리는 물질을 남용 또는 오용하고 있다.정부의 부족한 재활용정책과 맞물려 시민들은 물질사용 주기를 줄여가기만 했다. 일부 기업들도 물질남용을 부추겼다. ...
-
도심온도 상승은 녹지부족과 비례
이승호 책임연구원(한국종합환경연구소)요즘 25℃ 이상의 무더운 밤인 열대야가 지속되고 있다. 한낮에는 폭염특보가 지속되고 있다. 21일 합천의 낮기온은 36.4도까지 올라갔다. 동해안지역은 8월 하순으로 가장 뜨거운 날씨를 기록했다.도심 온도가 올라가는 것은 금년에 국한되지 않는다. 최근 지구 전체적으로 이...
-
누구를 위한 반대인가 ?
이승호 책임연구원(한국종합환경연구소)대기오염을 비롯해 수질·토양오염, 산림훼손, 하천훼손 등 우리가 환경오염 및 훼손이라고 부르는 일련의 일들은 언론에서도 늘 화제다. 환경문제는 생존권과도 긴밀하므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달리 표현하자면 사는 수준이 많이 올라갔다는 반증이다.산업...
-
"자연에 대한 예의를 지키자"
이승호 책임연구원(한국종합환경연구소)장마가 끝나면 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된다. 장맛철에도 맑은 날은 연일 섭씨 30도가 넘는 찜통더위가 이어져 전국 유명관광지와 계곡들은 피서객들이 넘쳐나고 있다.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되면 더 많은 피서객들이 자연의 품으로 안식(安息)을 구할 것이다. 그런데 자연과 ...
-
도심 녹지는 야생동식물의 '오아시스'
이승호 책임연구원(한국종합환경연구소)환경문제가 화두가 되는 세상이다. 환경문제가 늘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니, 환경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지고 있는 것도 사실인 듯하다.환경복원이라는 단어가 지금처럼 많이 들리던 시대가 없었던 것 같다. 하기야 지금처럼 환경훼손이 극에 달한 적이 없으니 그 전에는 그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