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저널=서울】‘그린워싱(Green washing)’이 진정한 친환경 기업의 노력과 성과를 왜곡시킬 우려가 높다는 지적이다.
‘그린워싱(Green washing)’은 ‘녹색(Green)’과 ‘세탁(Washing)’의 합성어로 기업이나 조직이 실제로는 친환경적인 행동이나 정책을 실행하지 않으면서, 이를 과장하거나 왜곡해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박필주 ESG인프라지원단장(공학박사)은 ‘그린워싱(Green washing) 현황 및 기업의 대응 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기후 관련 ESG 리스크 사건 4건 중 1건이 ‘그린워싱’과 연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그린워싱은 환경보호에 대한 진정한 노력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지속 가능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환경보호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많은 소비자가 ‘친환경적’이라고 광고하는 제품을 선호하게 됐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이 실시한 친환경제품 구매 의사에 관한 소비자 설문조사(2024년)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87.8%가 친환경제품을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 중 94.8%는 일반 제품보다 다소 가격이 비싸더라도 친환경제품을 구매하겠다고 답했다.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기업들의 지속가능성과 친환경성을 강조하는 마케팅 전략 채택도 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친환경성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실제와 다른 환경친화적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그린워싱’이라는 부정적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그린워싱’ 발생 이유에 대해 박필주 단장은 “소비자의 친환경제품에 대한 요구 증가, 규제의 미비, 시장 내 경쟁 압박, 이윤 추구, 정보 비대칭 등의 다양한 요인이 있다”며 “소비자 요구와 규제 미비는 상호 연계돼 기업이 친환경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압력을 가중시키는 핵심 요인”이라고 말했다.
박필주 단장은 “그린워싱이 사회 전반에 만연하면 기업은 실제 환경 개선보다는 마케팅에 집중하게 된다. 이는 소비자와 기업 간 신뢰 훼손, 환경문제 해결 노력의 저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연구와 혁신의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 단장은 “ ‘그린워싱’이 단기적으로는 기업에 이익을 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신뢰 하락, 규제 리스크 증대, 투자자 이탈 등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며 “소비자가 올바른 정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업이 진정성 있는 지속 가능성 추구를 실현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환경 관련 국내 법정 인증제도 로고.
비영리 금융 싱크탱크인 플래닛 트래커(Planet Tracker)는 기업·금융권에서 발생하는 그린워싱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공신력 없는 친환경 인증 마크나 모호한 용어를 사용해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그린라벨링(Greenlabeling)’이 가장 대표적이다. 또 ▲소비자가 기업의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기 어렵도록 복잡한 환경 용어를 사용하는 ‘그린크라우딩(Greencrowding)’을 비롯해 ▲일부 친환경 요소만 강조해 전체가 친환경인 것처럼 보이게 하는 ‘그린라이팅(Greenlighting)’ ▲환경문제의 책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그린시프팅(Greenshifting)’ ▲지속적으로 환경 목표를 변경하거나, 낮춰서 책임을 회피하는 ‘그린린싱(Greenrinsing)’ ▲기업이 환경보호 노력을 하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홍보하지 않는 ‘그린허싱(Greenhushing)’ 등으로 분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