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궤도 기상위성 ‘천리안위성 5호’ 예타 통과
기사 메일전송
정지궤도 기상위성 ‘천리안위성 5호’ 예타 통과 국내 최초 민간 주관 개발…2031년 발사 목표   
  • 기사등록 2024-05-23 11:14:54
기사수정

【에코저널=서울·세종】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기상이 공동으로 기획한 ‘정지궤도 기상·주기상 위성(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이 개발기간 7년(2025년~2031년), 총사업비 6008억 4400만원 규모로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를 통과했다.

 

천리안위성 2B호 가상도.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천리안위성 5호)은 천리안위성 1호와 천리안위성 2A호에 이은 국내 3번째 기상위성이다. 2031년 발사돼 적도 상공 약 3만6천km 고도에서 24시간 실시간으로 기상·우주기상을 관측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기상위성으로 활약할 전망이다. 

 

최근 지구·우주의 기상환경 변화로 인한 재난재해 위험이 커지는 가운데, 정지궤도 기상위성은 실시간 위험기상 탐지·예측에 최적화된 자산으로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기상청과 과기정통부가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 개발 사업을 공동으로 기획했고, 향후 다부처 협업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최초로 정지궤도 위성을 산업체가 주관해 개발할 계획으로, 주관연구개발기업은 참여 연구기관과 함께 위성 체계종합·위성 본체 개발 전 과정을 주관한다. 이를 통해 우리 산업체의 고성능 정지궤도 위성 개발 역량을 향상해 민간 주도의 우주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은 ▲시스템·본체 ▲기상탑재체 ▲우주기상탑재체 분야 과제로 구성된다. 위성의 시스템 및 본체는 그간 국내 정지궤도 위성개발로 확보된 공공 기술 중 일부를 민간으로 이전하여 개발 완성도와 국산화율을 높일 예정이다.

 

기상탑재체는 빈번해지고 있는 위험기상 현상의 감시·예측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16개 채널에서 18개 채널로 늘리고, 일부 채널들의 공간해상도를 4배로 높여 점점 심화되고 있는 국지성 기상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개발할 예정이다. 우주기상탑재체에는 우주환경과 극항로 방사선 예경보에 최적화된 고에너지 양성자 및 전자 측정기, 위성대전감시기, 자력계가 포함될 예정이다.

 

이번 예타 통과에 따라 양 부처는 긴밀한 협업을 통해 향후 사업 추진계획을 구체화하고, 사업 예산확보를 추진하는 등 사업 착수에 차질이 없도록 면밀히 준비해나갈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이창선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은 지금, 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은 정지궤도 위성 개발 기술 향상과 우주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날로 극단화되고 있는 이상 기후위기 시대에 기상위성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만큼, 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의 예타 통과는 기술력으로서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동시에, 기상재해로부터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새로운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5-23 11:14:54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