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고성 산불피해지 복원연구 설명회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고성】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22일. 강원도 고성군 산불피해지에서 ‘고성 산불피해지 복원연구 현장설명회’를 진행했다. 

 

이날, 현장에는 동부지방산림청, 서울여자대학교 등 생태계 복원 관계자 및 상지대학교 산림자원학과 학생 30명이 모여, 산불피해지 생태계 회복 과정에 관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국립산림과학원은 1996년 대형산불이 발생한 고성지역에 장기모니터링 조사지를 설치한 뒤 현재까지 식생, 어류, 조류, 포유류 등 생태계 회복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류는 3년, 수서동물은 9년, 곤충(개미류)은 14년 안에 회복됐다. 

 

이에 비해 포유류는 개체 수 기준으로 20년이 지난 후에도 81~86%, 조류는 62~72% 수준의 회복률을 보였다. 토양 유기물은 미피해지에 비해 32~47%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회복속도가 더뎠다. 

 

이를 바탕으로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불피해지의 생태계 회복과정을 밝히는 장기 모니터링 연구를 앞으로도 지속할 예정이다. 위성, 드론, 센서 네트워킹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산불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숲 복원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산불 피해지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이영근 연구관이 고성산불피해지에서 연구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현장설명회를 진행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이영근 연구관은 “첨단기술을 활용한 산불피해지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산불 피해 후 생태계 회복 과정을 밝히고 올바른 복원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5-23 12:00:0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