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결과 공개
기사 메일전송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결과 공개 114종 조사…안전한 먹는물 생산 우려 없어  
  • 기사등록 2024-05-23 12:48:17
기사수정

【에코저널=칠곡】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낙동강 상수원의 먹는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왜관수질측정센터(경북 칠곡군 소재)에서 수행한 2023년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왜관수질측정센터.

이번 조사는 국내에서 관리하지 않고 있는 미량오염물질 중에서 2022년 이전 조사에서 주로 검출된 물질과 국외에서 관리하고 있거나, 관리를 위한 후보물질 114종을 대상으로 했다. 낙동강 왜관지점에서 주 2회, 상하류 기타지점(강정, 남지, 물금)에서 2023년도 한 해 동안 월 1회씩 측정했다.

 

조사결과, 낙동강 전체 조사지점에서 조사대상 114종 중에 76종(산업용 29종, 농약류 32종, 의약물질 15종)의 물질이 검출됐다. 

 

검출된 76종 중에 국내외 기준이 있는 17종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나타났다. 국내외 기준이 없는 나머지 59종은 국외 검출농도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지점별로는 왜관(경북 칠곡군, 제2왜관교) 지점에서 74종이 검출됐다. 강정(경북 구미시, 숭선대교), 남지(경남 함안군, 남지교), 물금(경남 양산시) 등 기타 조사지점에서는 각각 64종, 67종, 68종의 물질이 검출됐다.

 

왜관수질측정센터 위치.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올해부터는 낙동강 하류지역의 매리수질측정센터(경남 김해시 소재)와 왜관수질측정센터를 연계해 운영해 낙동강 전 구간에서 미량오염물질의 촘촘한 감시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5-23 12:48:1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